반응형
- 가우스 조던 행렬 소거법의 기하학적 의미 : 직선방정식의 법선벡터를 선형변환시켜주어 법선벡터들이 단위벡터에 평행하게 만드는 과정으로 이때의 교차점은 변하지 않아야 한다.
- 오일러 공식의 기하학적 의미
- 오일러 공식 : exp(iθ) = cosθ + isinθ
- 복소수(i)가 가지는 의미는 1이라는 숫자를 복소평면상에서 θ라디안만큼 회전시켜주는 것
- 복보수를 곱한다 = 회전한다, 음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
- 결국, 복소 고유값 의미는 길이가 줄거나 늘어나는게 아닌 “복소수 곱셈에 의한 Vector의 회전을 의미’
- 테일러 급수 - 특정 point의 도함수 정보를 이용하여 point주변의 함수값을 알아는 방법으로서 특정함수값에서 함수를 근사화하기 위하여 해당 point의 함수값과 도함수(미분계수)값을 이용
- SVD 행렬분해 : 임의의 행렬A를 정보량에 따라 여러 Layer로 쪼개서 생각 할 수 있게 해 준다.
728x90
반응형
'Data Science & AI Theo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계열분석(1) - 정상성, 고빈도거래의 사용 (0) | 2023.08.15 |
---|---|
정현파, 특정 주파수 함량, 중첩의 원리, Time Sampling, Digital Signal (0) | 2023.08.15 |
자연상수e, 변동계수, 상관계수, 공분산 (0) | 2023.08.15 |
ML Process, Model개발 (1) | 2023.08.15 |
인공지능 Model평가 유의사항/일반화 성능향상/훈련 성능 향상 시키기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