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의수준1 p-value, α, 검정력, 검정통계량, 통계적 유의성 실험설계는 어떤 가설을 확인/기각하기 위한 목표를 갖고 있다 A/B 검정 한쪽이 다른 쪽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실험군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는 실험 대조군이 없을 경우 ‘모든 다른것들은 동일하다’는 보장이 없으며, 어떤 차이가 나는 처리 때문인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귀무가설(Null Hypothesis) – 우연 때문이라는 가설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 – 귀무가설과 대조(증명하고자 하는 가설) 순열검정(Permutation Hypothesis) 두개이상의 표본을 함께 결합하여 관측값들을 무작위로 재표본추출하는 과정으로서 랜덤변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휴리스틱 한 절차 관찰된 차이가 순열밖에 있다면 우연때문이 아니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통계.. 2023. 8. 1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