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되는 사람

by Oliver J 2024. 9. 12.
반응형

 

대부분의 자기 개발서들의 이야기들은 책의 뒷면에 깔려있는 내용들에는 유사한 이야기들이지만, 각자 다른 표현방식으로서 접근하고 설명하고자 하는게 새롭기도 하고, 기존 읽은 책들의 내용도 상기시켜주기에 간간히 자신을 다독여줄겸 읽게 되었다. 

(가볍게 읽어보기에 좋으면서도, 실천하기 위한 내용들을 쉽게 풀어쓴 책이라 자기개발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인생을 살아가며 누구나 다양한 실패와 고난을 마주하게되고, 이를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사람마다 결과는 판이하게 달라지게 된다.

 

위의 책, 되는 사람, 에서는 이를 4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설명을 해 나아간다. 

 

무기력한 패배자, 부정적인 빌런, 변화를 꿈꾸며 행동하는 히어로, 그리고 그 히어로를 돕는 조력자. 

 

"되는 사람"은 결국 인생에서 "히어로"가 되고, 거기에서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다면 "조력자"가 되어가는 것. 

 

 

여기서부터는 간략한 내용 요약이다. 


구분 내적 통제 소재 외적 통제 소재
의미 운명의 통제는 내가 한다! 운명은 통제가 불가능하다!
특징 강한 소속감, 고임금, 낮은 우울감, 끈끈한 인간관계 높은 우울감 이나 불안감, 저임금, 단단하지 않은 인간관계

 

  • 행위 주체성(Agency) :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
    • 일련의 상황에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인생에서 극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 패배자는 자신이 무기력하다 믿고 그에 따라 행동하지만, 히어로는 패배자와 같은 경험을 하여도 "행위 주체성"을 믿고 극복한다.
  • 히어로 마인드라면 핑계를 대지 않는다. 핑계야말로 삶이 변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서,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질때 진정한 히어로가 될 수 있다. 
    • 히어로는 "기분과 상관없이 자신이 할 일을 해 나가는 것". 즉, "행위 주체성 의지를 이어나가는 것"이다. 
  • 실존적 공허 : 하나의 도전이 끝나고 마음이라는 텅 빈 극장에 앉아 빈화면을 바라보는 상태

 

  • 삶의 "의미" 란 본질적으로 중요한 무언가를 성취하려는 삶의 스토리에 자신을 던져넣는 것으로서, "특정 상황에서 경험하는 감정적인 상태. 그리고 직접 움직여 도전중에 경험하는 것"이다. 
    • 히어로는 약하고, 행동하기를 두려워하며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자신을 변하게 할 도전을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것이 그들의 특징이며, 행동하기에 히어로는 의미를 경험한다고 한다.
    • 결국, 본인이 원할 때 언제든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사실!
반응형
  • 의미있는 삶을 살기위한 3가지 공식
    1. 일을 만들거나 행동하라 : 아침에 눈을 떠 침대에서 몸을 일으킬 이유를 찾아라~!
    2. 마음을 사로잡고 내면의 자아를 일깨워줄 일을 하거나, 그런 사람을 만나라 : 내 안의 나를 꺼내 내 세상을 넓혀줄 무언가를 만나는 야 한다!
    3. 살면서 겪게 될 피할 수 없는 시련과 도전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라 : 비극을 겪는 것은 고통스럽지만 그것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있다. 비극이 남긴 잿더미에서 아름다운 무언가를 창조하고, 시련속에서 의미를 찾아야 "치유"할 수 있다. 그렇기에 무기력한 패배자에서 히어로가 되기 위해서는 "치유의 과정" 이 필요하다. 
      • 시련은 변화를 가져오는 힘으로서, 그 시련을 내면의 힘으로 만들어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책으로 삼아야 한다. 
      • 자신이 겪은 시련을 겪었는지, 그 과정을 통하여 얼마나 강해짔는지 돌아볼 때 정체성이 발전한다. 따라서 시련의 경험을 종이에 써보자. 그러면 자신이 생각보다 더 강하고 더 흥미로운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치유의 과정이다. 
      • 자존심을 버리고 실수를 받아들여야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실수를 인정하고 해결해야 성장할 수 있다. 그러니 실수를 배움의 기회로 받아들이자! 이렇게 우리는 "삶의 의미"를 경험하기 위해 삶을 이용 할 수 있다!

 

  • 무엇이 옳은가를 따지는 것은 통제의 힘을 외부에 두는 것과 같다. 삶의, 인생의 정답은 "외부가 아닌 당신(내부)에게 있다"

 

  • 삶의 주제를 정해야 무엇을 할 지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과 경험의 변화에 따라 주제도 변할 수 있다. 
  • "~ 하면 어떻게 될까?" : 히어로에겐 할 일이 필요하다. 그 일이 흥미롭고 중요할 때 히어로는 행동에 나서며, 이는 견인력(열정이나 동기)의 본질이다. 

 

  • 저자의 아침 루틴
    1. 추도사를 읽는다 : 시나리오 작가나 소설가들은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끝을 먼저 정해 놓는다. "시간 제한"이 없으면 매력적인 스토리를 쓰기 힘들며, "영원할 수 없으면 이야기는 더 간절해지기 때문"이다.
    2. 10년 / 5년 / 1년 비전 워크시트를 읽는다. 
      • 비전 워크시트 항목
        1. 올해 당신의 삶을 영화로 만든다면 영화 제목은?
        2. 나이
        3. 커리어
        4. 건강
        5. 가족
        6. 친구
        7. 내적 성장
        8. 매일 해야할 두가지
        9. 매일 하지 말아야할 두가지
        10. 현재 내 삶의 핵심 주제
    3. (가장 최근에 정한) 목표 설정 워크시트를 읽는다. 
      • 목표 워크시트 항목
        1. 목표
        2. 목표가 왜 중요한가?
        3. 데드라인
        4. 목표 달성 파트너
        5. 이정표
        6. 매일 희생해야 할 것
        7. 반복횟수
    4. 매일 데일리 플래너를 작성한다. 
      • 데일리 플래너 항목
        1. 체크리스트 : 추도사 읽기, 비전 워크시트 점검하기, 목표 점검하기
        2. 주요과제 1, 주요과제 2
        3. 오늘을 다시 살 수 있다면 무엇을 바꾸고 싶은가?
        4. 오늘 감사한 일은 무엇인가?
        5. 일정
        6. 부차적 과제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저자는 스티븐 코비와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책에서 배우고 깨우친 것들을 자신의 방식과 삶에 녹여, 이를 습관화하여 살아가는 것 같다. 우리는 삶에서 무엇인가를 얻으려면 의도적으로 직접 행해야하고, 생각해야 한다. 자신이 마주했거나 마주하고있는 고난과 역경에 대항하여 타인이나 운명을 비난해봤자 잠깐 편해지는 마음만 지나갈 뿐, 장기적 관점에서 보자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여기서 나는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의 말이 생각났다.  

 

중요한 것은 당신에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당신이 그것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이다 - 에픽테토스

728x90
반응형